오미크론이 델타보단 우세종이고 오미크론이 델타바이러스를 잠식 한다면 코로나가 감염병화 될 수 있다고 합니다.
간단한 데이터 분석으로 코로나 델타 바이러스와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확산세를 알아 보도록 합니다
데이터셋 - https://www.kaggle.com/yamqwe/omicron-covid19-variant-daily-cases
Omicron daily cases by country (COVID-19 variant)
Daily Updated Omicron (COVID-19 Variant) cases
www.kaggle.com
우선 위와 같이 라이브러리를 불러온 후 data 역시 불러와줍니다.
데이터의 구성을 대충 살펴 보겠습니다
location - 국가
date - 날짜
variant - 코로나 종류
num_sequences - 확진자 수? 증가수? 정도로 판단됩니다.
perc_sequences - 증가수를 백분율
num_sequences_total - 누적 증가수
코로나 바이러스 종류가 알파,델타,오미크론 정도 인줄 알았는데 꽤 많은 종류가 있었습니다.
저희는 South Korea 의 K-Omicron이 필요 하기 때문에 일부만 추출 해냅니다
Kdelta 역시 오미크론과 같은 방식으로 추출 해냅니다.
Seaborn 의 sns.lineplot으로 시각화를 해 보았습니다.
델타 변이는 2021-4-19일경 시작된걸 알 수 있고
오미크론은 2021-12월경 시작된걸 알 수 있습니다.
2022년의 통계가 없는게 아쉽지만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기에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.
모두 코로나 조심하시길 바랍니다.
'빅데이터 > 데이터 시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1. 데이터 시각화 (0) | 2021.10.23 |
---|---|
창원시 범죄발생률 시각화 (0) | 2020.10.28 |